yessen 2022. 12. 26. 15:12
728x90

심장 박동과 관련한 계측

 

이미지출처: https://ecgwaves.com/topic/systematic-clinical-ecg-interpretation-review-guide/

- Heart rate variability (HRV):심장 박동의 미세한 변화

- R–R variability: peak-to-peak 간격의 변화 (0.12 ~ 0.2초가 정상 범위)

- P wave: 심방 분극(atrial depolarization) 반영. 보통 0.08 ~ 0.12초이며 LEAD 2, 3에서 이상 관찰

- QRS complex: 심실 분극(ventricular depolarization) 반영. 0.06 ~ 0.1초

- T wave: 심실 재분극(ventricular repolarization) 반영. 0.1 ~0.25초. 

- U wave: T와 같은 방향. 

- ST segment: 심실 재분극의 앞부분 반영. 

- QT interval: 심실의 수축기 (R-R interval의 1/2이하)

 

 

# Time domain 분석 지표 (beat-to-beat or NN intervals)

- SDNN (the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): NN 간격의 표준 편차. HRV 전체 가변성 반영

- RMSSD (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): 인접한 NN 간의 연속 차이 제곱 평균의 제곱근

- SDSD (standard deviation of successive differences): 인접한 NN 사이의 연속적인 차이의 표준 편차

- NN50: 50ms 이상 차이가 나는 연속 NN 쌍의 수

- pNN50: NN50을 총 NN 수로 나눈 비율

- NN20: 20ms 이상 차이가 나는 연속적인 NN 쌍의 수

- pNN20: NN20의 비율을 총 NN 수로 나눈 값

- EBC(estimated breath cycle): 주어진 시간 내 예상 호흡 주기. PPG에서 파생된 EBC는 SDNN과 높은 상관관계 (10초)

 

# Frequency domain 분석 지표

주파수 대역을 할당한 다음 각 대역과 일치하는 NN 간격의 수를 계산

일반적인 대역은 0.15~0.4Hz의 고주파(HF), 0.04~0.15Hz의 저주파(LF), 0.0033~0.04Hz의 극저주파(VLF)

 

Power spectral density (PSD): 주파수 전체의 전력 분포

    - FFT 

    - Lomb–Scargle periodogram (LS): FFT와는 달리 RR 데이터의 trend를 제거하거나 resampling할 필요가 없음

    - Hilbert transform: 부정맥 등으로 발생하는 단일 고강도 피크(single high-intensity peak)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

     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해 '순간 진폭'의 개념 도입

    - HRV index (wavelet entropy measures에 기반): 상대적인 웨이블릿 에너지(또는 확률 분포)를 나타내는 웨이블릿

      에너지의 정규화된 값을 계산한 후 Shannon의 엔트로피 정의를 사용하여 웨이블릿 엔트로피를 구함

 

 

* 일반적으로 낮은 수치가 질병 등의 의심으로 사료될 수 있음